교육부가 중·고등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 수행평가의 본래 취지를 되살리기 위해, 오는 2학기부터 수행평가 운영 방식 전면 개선에 나선다.

1999년 도입된 수행평가는 암기 중심의 지필고사를 보완하고 학생의 고차원적 사고력과 전인적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였다. 그러나 최근 수행평가가 과도하게 많아지거나, 수업 외 시간을 침해하는 사례가 늘며 학부모와 학생의 부담이 커졌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수업시간 내에서 수행평가를 실시한다”는 원칙을 명확히 하고, 준비 과정에서 부모나 사교육의 개입이 쉬운 과제형‧암기식 평가 방식을 지양하겠다고 1일 밝혔다.

우선, 모든 수행평가는 반드시 정규 수업 시간 내에서 실시하도록 지도하고, 시도교육청과 협력해 각 학교의 평가계획을 학기 초에 점검할 방침이다. 교사들은 자체 점검표를 통해 과도한 수행평가 요소를 사전 진단하고 조정할 수 있다.

또한 7~8월 중 각 시도교육청이 주관하는 현장 안내를 통해 학교 관리자와 교사들에게 수행평가의 도입 취지, 운영 지침, 주의사항 등을 공유한다. 이를 통해 일선 학교가 평가의 목적을 다시금 되새기고 실효성 있는 운영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향후 현장의 요구를 반영해 관련 지침도 개정할 예정이다. 교육부 김천홍 책임교육정책관은 “수행평가는 학생의 성장과 변화를 이끄는 중요한 교육 과정”이라며 “학교가 수업과 평가의 본질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제도 개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